2019년 8월 6일 화요일 간추린 뉴스
1. 격랑의 동북아... → ① 미중 무역전쟁 재점화 ② 한일 경제전쟁 격화 ③ 홍콩 정국불안 리스크... 한중일 증시 동반 폭락. 한국은 3년 5개월 만에 최저.(매경)
2. ‘청년수당’ → 동네 잘 만나야 덕 봐... 서울, 부산, 인천, 대전, 전남, 제주 6곳은 300만원, 세종·충북· 충남·전북·경북 5곳은 제도 없어 ‘0원’. 4개 지자체는 100만~ 200만원. (중앙)▼
3. 8호 태풍 ‘프란시스코’ → 이례적으로 내륙 관통 전망. 6일 밤 남해안 상륙, 내륙 관통해 7일 동해안으로 빠져나가. 최고 150mm 비, 순간 최대 풍속 25~30m 강한 바람.(경향 외)
4. 시도 때도 없이 우는 매미... 밤잠 설쳐 → 열대야, 야간 조명 탓... 27도 이상일 때 말매미 크게 울어. 울음소리 75∼95dB(데시벨), 주거지역 소음 기준(주간 65dB, 야간 60dB) 훨씬 뛰어넘는 수준.(동아)
5. 2020 도쿄 올림픽 '5G 올림픽‘ 빈껍데기? → 삼성, 엘지 5G폰 없으면 망 구축해도 빈껍데기... 애플은 내년 하반기까지 출시 계획 없고 소니 등은 화웨이에도 기술력 밀린다는 평가.(문화)
6. 14년전 한일 갈등... 文대통령 - 아베 악연 → 14년 전 야스쿠니 참배 문제로 노 대통령 - 고이즈미 총리 갈등... 당시 문 대통령은 대통령 비서실장, 아베는 日 관방장관.(문화)
7. ‘미술은행’ → 국립현대미술관 산하에 설치되어 소장품을 국가, 지자체, 공공기관, 공/시립미술관, 비영리기관 등에 대여해 주고 있다. 대여료는 작품가의 1~1.5%(월). (헤럴드경제)
8. 종자 자립도 시급 → 한국 종자 수출 세계 30위권. 양파는 거의 전량 일본에 의존. 한라봉과 천혜향 등 감귤 종자도 거의 일본산. 감귤 국산화율 지난해 기준 2.3%에 불과.(세계)
9. ‘햇빛’ → 피부 노화의 주범이지만 비타민D, 세로토닌 등 생성으로 대장암, 유방암, 심장병, 치매 등 줄여준다는 연구 많아. 정오를 기준으로 하루 25분 정도면 비타민D 합성에는 충분하다고.(한국)
10. TV 시청시간 감소 → 하루 평균 2013년 3시간 14분에서 2018년 2시간 47분으로 14% 감소. 세대별로는 20대가 1시간 4분 감소... 젊을수록 감소폭 커. 70대는 5분 증가.(경향)
2019년 8월 6일 부동산 뉴스
■집값, 정부가 콕 찍으면 꼭 올랐다
-8·2 대책 2년, 핀셋 규제의 역설… "정부가 투자처 찍어준 셈"
-전국 집값 1.5% 빠졌지만, 서울은 8%↑
-거래 절벽·대출 규제에 실수요자 피해
■부동산 거래 신고기한 '60일→30일'로 단축
-거래계약 해제·무효·취소 시 30일 내 신고 의무화
-공포 후 6개월 경과한 날부터 시행
■“살던 동네가 좋아요” 국민 10명 중 6명 관할 시군구 아파트 샀다
-서울은 동일 구 거주자 매입 비율 45%…강남은 서울 외 비율 높아
■‘일단 日대응부터’...임박했던 ‘분양가상한제’ 연기할 듯
-일본 수출규제 대응 등 정부 관계부처 간 협의 더 필요
-분양가 상한제, 특정 지역에만 핀셋 적용, 부작용 최소화
■'박원순표 도로 위 아파트' 밑그림 나왔다..."분진.소음 해결 가능"
-북부간선도로 신내나들목(IC)~중랑IC 구간 일대 본격 추진
-독일 슐랑켄바더 슈트라세, 일본 게이트타워 빌딩 등 벤치마크
■파산 위기 명지학원 소유 부동산 경매행
-홍제동 299-2 근린시설인 효신빌딩
-감정가 189억3598만원, 채권총액 92억5841만원
2019년 8월 6일 화요일 신문브리핑
[정치]
@ 미중·한일 경제 전쟁 겹악재에 금융시장 '블랙 먼데이'(코스피 -2.56% 코스닥 -7.46%)
- 국민 불안감 확산에 문 대통령이 '남북경협으로 극일' 해법 제시했지만 증시 폭락 → 설득력이 없었다는 방증일수도
☞ 차분한 대응전략이 필요한 때 집권 여당이 지소미아 파기·도쿄 여행 금지 검토 등 감정적인 대일 강경론을 쏟아내고 있는 상황
- 강력한 대일 여론 압박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있지만 반일 감정만 자극하는 일은 사태를 엉뚱한 방향으로 끌고 갈 수 있으며,
- 지소미아 파기는 일본 압박 카드는 될 수 있지만, 한·미·일 안보협력체제 자체를 흔들고 경제 전쟁을 안보분야까지 확대하는 것
- 지금 상황을 전화위복으로 만들기 위해선 규제 전체를 혁파하고, 한·일 정부가 서로 윈윈하는 외교적 타협안을 찾아내는 게 최상
- 결국 양국 정상이 풀어야 할 문제 → 청와대, 12월 한중일 정상회담 추진 사실 공개...양국이 물밑 접촉을 이어가고 있다는 뜻으로 해석
▲ 한·일 100일간 5대 분수령 → 문 대통령 광복절 메시지, 24일 지소미아 연장여부, 9월 유엔총회, 10월 일왕 즉위식 등
▲ 정치권 저질 반일 공방(사케) 민간으로 확산 → '일제 색출' 바람...KBS 9시 뉴스 진행자 "이건 국산볼펜", 도심에 'NO재팬' 현수막 등
☞ 문 대통령의 '남북 카드'는 산업구조 전반 개혁 추진, 일본에 맞서 남북·북미 대화 속도 내겠다는 의지로 해석되지만,
- 북한의 잇따른 미사일 도발 상황 속에서 일본 경제 보복과 직접 연관성 없는 남북 경협을 거론하고 있다는 비판도 상존
▲ '경제위기설은 일본의 의도'라며 낙관론 펴는 靑...전문가들 "경제적인 파장 냉정한 판단없이 언론과 외부 탓만"(조선 2면)
▲ 정경두 국방 "한일 군사정보협정 신중 검토"...조세영 외교 1차관 "현재로는 유지"...정부, 재검토 카드로 미국 관여 설득
▲ 김조원 민정수석 “공직 특별감찰...국민 정서 배치되는 언동 엄정조치” → 대일 대응에 대한 비판 차단에 나선 것으로도 해석
▲ 여당 "일본, 한국에 친일정권 목표" 한국당 겨냥 → 야당을 '친일' 프레임에 가두고 반일 정서를 자극해 총선에 이기겠다는 의도라고 비판
■ 정부, 1년내 20대 핵심 전략 소재·부품·장비 국내 공급 안정화 추진 → 금융·예산 지원규모 총 45조원, 세금·규제특례 등 패키지 지원 선포
△ 핵심품목 R&D에 7.8조 △ 불매운동 피해 중기 세무조사 연기 △ 주52시간 예외·특별연장근로 허용 △화학물 취급 인허가 75일 → 30일 등
▲ 한국의 첫 반격카드는 '일본 석탄재' 수입 규제 : 화력발전폐기물로 시멘트 원료로 쓰여...일본 배출량 90%가 한국으로 수출
☞ 예산·세제·규제완화 총동원했지만 부품 5년내 국산화 가능할지 의문 → '발등의 불 끌 대책 안보인다'는 지적도
- 재계 "소재 국산화 촉진 위해선 화관법·화평법 규제부터 완화를" : 화학물질 제조·수입 신고하려면 40개 넘는 항목 테스트해야 해
▲ 박재근 반도체·디스플레이기술학회장 "일본 규제한 반도체 소재 3종 월말 공급 안정화...일본 소재기업 최대 수요처 잃어"(중앙 14면)
▲ 중기 "소재 개발해도 판로 확보 못해" 대기업 "부품 교체, 수백억 위험 부담"...정부, 실증 테스트 베드 확대 등 중·대기업간 간급 좁혀야
※ "한국 반도체에 패전" 일본은 칼을 갈았다...전자분야 밀리자 타격 방법 궁리, 아베 독주속 경제보복으로 현실화(동아 1면)
- 일본, 한국 급속성장에 초조감 : 청구권협정 당시 GDP 8배차 한국 54년만에 국가경쟁력 일본에 앞서자 일본내 한국 경계감 갈수록 높아져
▲ 수소기술 특허...일본, 한국서 선점 : 5년간 390건 출원(매경 1면)
■ 기타 뉴스
※ 미국, 한일 중재 회피하고 연일 '안보 청구서'(방위비·미사일 배치·호르무즈 파병)만 꺼내 압박하고 있다고 비판
- 대선에 성과 필요한 트럼프 입장에선 북핵 문제와 한·일 갈등으로 미국 의존도가 커진 한국이 가장 손쉬운 상대가 되고 있는 셈
▲ 美, 중거리 미사일 아시아 배치...정부 "검토할 계획도 없다" → 중국 "美 총알받이 되지 말라" 경고...분담금 인상 등 압박용 카드 분석도
※ 바른미래당 내홍 절정...손학규 "한국당 가려면 혼자" 직격 vs 유승민 "허위사실 비난 깊은 유감" → 당권파 추석 이전 집안 정리 포석
※ 검찰, 국정원·경찰 '총선 개입' 고강도 감시 : 대검, 별도 메시지 준비 중...정치권 움직임 예의주시
※ "법원행정처가 나를 악용" 검찰 불려간 판사들의 배신 : 양승태 대법 자료 들고 검찰 찾아가고, 동료 비위 고발 투서도(조선 14면)
※ 홍콩 50년만에 총파업 → 공무원·버스기사·항공승무원 등 50만명 동참, 대중교통 지연·공항 마비...시위대 공격 '백색 테러'
※ 미국 인종 증오 총격범들 '트럼프 미러링'(거울처럼 따라하기) → 텍사스 테러범, 범행 선언문에 '이민자들의 침공'이라고 써
[경제]
@ 미중 무역전쟁 재점화·한일 경제전쟁 격화·홍콩 정국 불안 리스크 → 아시아 금융시장 연쇄하락
- 코스피 -2%대(3년來 최저치)·코스닥 -7% (사이드카 발동) 동반 급락...원화값 1215원으로 급락(3년5개월만에 최저치)
- 11년만에 달러당 환율 7위안 붕괴 → 中 "美보호무역 탓" 트럼프 "中이 환율조작" 트윗...엔화는 달러당 105.97엔 급등
① 코스피 1,946.98(▼ 51.15) ② 코스닥 569.79(▼ 45.91) ③ 환율 1,216.00원(▲ 15.50) ④ 유가(두바이) 60.56(▲ 1.17) ⑤ 금시세 56,939.76원(▲ 1,494.19)
☞ 외국인 팔자에 개인 투매...시총 50조원 증발 → 한일 경제 전쟁서 한국 경제가 더 큰 피해를 볼 것이라는 불안감 확산
- 원화가치 급락이 지속되면 외국인 투자자들의 한국 탈출이 촉발되면서 외환 유동성 위기가 발생할 가능성 배제못해
- 괜찮다던 금융위, 긴급 시장전문가 간담회 → 증권사·운용사 6~7명 참석, 비상대책 카드 꺼낼지 관심, 증시안정자금 투입 등 거론
▲ 일본, 금융보복 시나리오 → 롤오버(기존 차입금 만기 연장) 거부 1순위, 17조중 40% 1년내 만기...자금이탈 '트리거' 가능성
▲ "지금이라도 금·달러 사야하나" 문의 폭주...골드바 동나고, 달러예금 한달새 2조 늘어 → 금값 올 25% ↑ 채권형펀드 10조 ↑
▲ 증권 전문가 "무역전쟁 끝나야 진정한 반등...당분간 바닥 예측 무의미"...시장불신 코스닥은 550 전망
※ 트럼프 표밭 겨눈 중국 "美 농산물 수입 중단"...국영기업에 지시, 선거 앞둔 트럼프 `타격` 美추가관세에 강공 전환
■ 오늘의 이슈
※ 이재용, 삼성전자 계열 사장단 긴급소집 "긴장하되 두려워말자...6일부터 전국 사업장 직접 점검" 화이트국 배제 후 비상경영 돌입
- 이런 상황에도 민노총 삼성전자서비스노조 "이재용 사퇴" 외치며 총파업 : 민노총 전국 곳곳서 릴레이 집회, 車·조선업계는 내주 파업 예고
▲ 소득불평등과 생산성 향상 가로막는 노동계 '이중구조'(정규직과 비정규직,대기업과 중소기업,청년과 중장년, 양대노조 10%가 90% 외면 등) 대수술 촉구(서경 1면)
▲ 노동계 반발에도 내년 최저임금 8590원 최종 확정...한국노총, 최임위 보이콧 재확인
※ 정부, ISDS(투자자·국가분쟁해결제도) 개혁안에 '3자 펀딩 규제' 담았다 : 소송 남발 차단...지난달 유엔 제출 (경향 1면)
※ 여당, 총선 악재 될라...민간 분양가 상한제 제동 : 당 지도부 "시장 영향 더 검토해야" 금주 시행 발표 연기 가능성 시사
※ 부동산 허위 계약 3000만원 과태료 : 신고기간도 60일 → 30일 단축
※ `어닝쇼크` 쌍용차, 임원 20% 감원 → 예병태 사장 긴급 임직원 담화, 상반기 770억 적자·자본잠식, 10분기 연속 영업손실 지속
★ 성장금융 뉴스 브리핑 → PE·VC 운용사, 벤처·중소기업 뉴스 등
■ 기타 동향
○ 국내 상장지수펀드(ETF) 자산 연초대비 8조원 증발 → 국내증시 부진에 거래대금 계속 줄어...외인 순매수 연초 1조 → 지난달 81억
○ 대주주 지분 매각후 호재 철회한 코스닥社 → 리드, 전기차시장 진출 번복·中 북경차 CB매입 공시 취소, 2천원대까지 주가 폭락
○ 일본, 중국 화장품 시장 1위 차지 → 사드보복 틈타 공격적 마케팅·지난해 對中 수출액 80% 성장...K뷰티는 3위로 추락
○ 커지는 불매운동에 일본차 7월 판매량 32% 급감 : 수입차 전체 시장 규모는 전월 대비 0.3% 소폭 증가
○ 코웨이 인수(2조원대) 4파전 → SK네트웍스, 하이얼, 칼라일, 베인 예비후보 선정...웅진 9월에 본입찰
○ 북부간선도로 위에 `미니도시` 조성 → 신내IC ~ 중랑IC 500m 구간 7만5000㎡ 공간 복합개발, 공공임대주택 1000가구 포함
○ 8월 일반분양 2만8143채 '작년 5배' → 39개 단지...경기 1만9072채 최다, 서울 송파-동작 재개발 등 5232채
https://ssl.factfinder.co.kr:8123/proxy/www/%EA%B2%BD%EC%A0%9C/2019-08-06/
'뉴스,이슈,부동산,정책브리핑 > 간추린 뉴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19년 8월 8일 목요일 간추린 뉴스 (0) | 2019.08.08 |
---|---|
2019년 8월 7일 수요일 간추린 뉴스 (0) | 2019.08.07 |
2019년 8월 5일 월요일 간추린 뉴스 (0) | 2019.08.05 |
2019년 8월 2일 금요일 간추린 뉴스 (0) | 2019.08.02 |
2019년 8월 1일 목요일 간추린 뉴스 (0) | 2019.08.01 |